Title | 원자잿값 내렸는데, 가격 높인 기업도 |
---|---|
Author | 수원왕 |
<a href="https://beautyguide.co.kr/seoul/"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서울웨딩박람회일정" id="goodLink" class="seo-link">서울웨딩박람회일정</a> 일례로 지난해만 해도 농림축산식품부가 나서서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면 식품업계는 받아들였다. 하지만 최근에 이뤄진 농식품부와 식품업계 간담회를 보면 기업들은 가격 동결 대신 인상이 불가피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집중했다. 정부의 물가 관리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소비자 부담이 커진다는 점이다. 2024년 2월부터 연말까지 2.0%를 넘지 않았던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월 각각 2.7%, 2.9%로 집계됐다. 같은 시기 전체 물가 상승률인 2.2%, 2.0%를 웃돌아 식품 가격이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일부 식품 기업은 밀가루 등 국제 곡물 가격이 하락하는 등 원자재 부담이 줄어든 상황에서도 가격을 높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도미노 가격 인상이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더 위축시킬 것"이라며 "식품기업은 지나친 가격 인상을 중단하고 원재료 하락분을 (가격에) 반영해야 하며 정부는 물가 안정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관세 혜택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