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후지산 일출만큼 인상적이었던 깨끗한 화장실 [후지산 원정기]
Author 김희열
Content
question

<a href="https://binance-bitget.com/gumi/" target="_blank">구미개인회생</a>2월 18일 대체 무엇이 재미있는 산행이지?

어젯밤 다 같이 모여서 잠을 잔 뒤 함께 공항으로 출발했다. 공항에 형들이 우리를 배웅하러 왔다. 나는 등산복 차림에 큰 배낭을 메고 있었는데, 상언이 형은 청바지에 '후리스'를 입고 있었다. 기분이 이상했다. 같이 꼬질꼬질한 배낭을 메고 있어야 할 거 같았는데, 형은 문명인처럼 입고 있었다. 함께 가지 못한 건 아쉬웠지만 형의 선택이 이해되지 않은 건 아니었다. 어쨌든 형들의 배웅을 받으며 비행기에 올랐다. 잠시 조는 사이 우리를 태운 비행기는 순식간에 바다를 건너 일본에 도착했다. 내 인생 첫 일본 여행을 원정으로 오게 되다니. 낯선 언어로 가득한 주변을 둘러볼 시간도 없이 이동을 시작했다.

예전부터 느낀 거지만 배낭을 메고 이동하는 게 가장 큰 일이다. 배낭은 크고 사람은 많고 길은 낯설었다. 이동을 위해 거의 하루를 다 썼다. 버스와 기차에서 병든 닭처럼 계속 꾸벅꾸벅 졸면서 이동했다. 차림새 때문인지 지나가는 사람들이 다 쳐다봤다. '베이스 가방(커다란 짐 가방)'만 해도 엄청 눈에 띄는데 어택백, 피켈, 매트 따위가 주렁주렁 달려 있으니 시선이 잔뜩 느껴졌다. 이런 차림이 이목을 끄는 건 한국에서나 일본에서나 똑같다. 얼마 후 그 시선들에 익숙해져서 사람들이 쳐다보거나 말거나 그냥 바닥에 앉아 쉬었다. 역시 편한 게 최고였다.

숙소에 도착해 짐을 두고 식량을 구입하러 가는 길에 갑자기 형들이 뛰기 시작했다. 속으로 '하하하' 웃으면서 같이 뛰었다. 열정을 다하고 싶지 않아서 크록스를 질질 끌며 흐물흐물 따라갔다. 식량 구입까지 마친 뒤 숙소 옥상에서 짐 패킹을 했다.

짐 패킹을 끝낸 뒤엔 마트에서 사온 음식들로 늦은 저녁식사를 했다. 공항에서 아침을 먹은 뒤로 처음 하는 식사였다. 식사를 끝내고 나서는 조금이라도 더 쉬기 위해 곧장 침대로 향했다. 샤워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나는 포기했다. 어차피 내일부터 못 씻는데 오늘 하루 좀 안 씻는다고 더 더러워지진 않으니까. 그냥 침대에 드러누웠다. 곧 시작이라니 실감이 나지 않았다. 정신이 계속 멍했다. 두 발은 아직 도시에 있는데 정신은 며칠 전부터 산에 있었다. 머리가 차갑게 가라앉은 기분이었다. 문득 후회가 들었다. 좀 더 훈련하지 못했던 것, 한계의 한계까지 스스로를 밀어붙이지 못했던 것, 자신을 더욱 독하게 내몰지 못했던 것 등. 이런 후회는 습관이 된 모양이었다. 나름대로 운동하고 훈련해도 늘 모자라다는 느낌이 들었다. 내 속도가 곧 팀 전체의 속도가 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운동해 왔다. 나는 체력이 뛰어난 편은 아니었고 팀으로 운행할 때는 뒤처지는 사람에게 맞추게 되니까. 잘하고 싶은 욕심은 넘쳐나는데 훈련이나 성과는 그 욕심을 따라가지 못했다. 실력 부진은 후회와 자책으로 이어졌다. 습관적으로 자기 채찍질을 하지 않으면 불안했다. 스스로를 한계까지 몰아붙이지 못하면 나 자신이 약해지는것 같았다. 그다지 힘들지 않은, 편하기만 한 산행은 나약함의 증거 같았다. 그게 싫었다. 며칠전부터 기분이 안 좋았던 것은 아마 그 탓이었을 것이다.

한참 원정 준비를 하고 있었을 때, 무의식적으로 '나는 정상에 갈 수 없을 거야'라고 생각했던 거 같다. 어쨌든 무조건 간다는 생각으로 했어야 했는데. 형이 나에게 "너는 정상에 갈 수 있을 거 같아?"라고 물었을 때 정신이 번쩍 들었다. 스스로 나약하게 생각했던 것이 어이 없었다. 짧은 순간이라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것에 화가 났다. 그래서는 안 된다. 나는 마음을 고쳐먹었다. 무조건 정상에 가야겠다고. 이왕 하는 거 즐겁게 하라고 했지만 여전히 아리송하다. 그다지 힘을 들이지 않고 느긋하고 편하게 산행하는 것이 즐거운 걸까? 그럼 힘들고 고된 산행에서는 즐거움을 느낄 수 없는 걸까? 대체 무엇이 재미있는 산행이지? 그 의문들은 지금도 잘 풀리지 않는다. 그러나 반복되는 자기 채찍질에도 분명 즐거움은 있었다. 산을 오르고 내려오는 모든 과정을 좋아한다. 후회와 자책, 자기 채찍질마저도 결국엔 산의 일부다. 나는 그런 산이 재밌었다. 화를 억누르며 썩은 표정으로 산행하기 일쑤이지만, 그럼에도 나는 산에 가는 것이 참 즐겁다. 언제나 나는 내 나름대로의, 내 방식대로의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어쩌면 그걸로도 충분할지 모른다. 이번에도 늘 그래왔던 것처럼 괴롭고 즐겁게 다녀오고 싶었다.

2월 19일 얼마나 고생하게 될지 기대됐다

전날 밤 패킹해 둔 배낭을 메고 출발했다. 산길로 들어서기 전 지루한 아스팔트길과 평지를 걸었다. 등이 무거웠다. 평지를 걷고 있는 데도 어깨가 뻐근했다. 하지만 익숙했다. 배낭이 옆으로 기울어질 때마다 내 몸도 같이 쓰러졌다. 가벼운 체중은 바위 탈 때는 좋지만 무거운 배낭을 들 때는 별로 쓸모가 없다. 추운 겨울에는 더더욱 쓸모가 없다. 예전에는 그게 너무 억울해서 하루에 네다섯 끼를 먹었다. 25kg만 들어도 내 몸무게의 절반 이상. 그때는 왜 그렇게 억울하고 짜증이 났을까? 내 체중이 가볍든 무겁든, 들어야 할 배낭의 무게는 달라지지 않는데 그땐 그걸 잘 몰랐다. 그냥 체구가 조금만 더 컸으면 하중 산행이 덜 힘들지 않았을까,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던 거 같다. 하지만 그 덕분에 나는 내 인생 최대 몸무게를 갱신했다. 고작 숫자 몇 개 차이인데도 예전보다는 하중이 덜 힘들다. 내 몸이 하중에 익숙해진 걸 수도 있겠지만.

지루한 아스팔트길을 지나 산길로 들어섰다. 아스팔트길은 걸어도 걸어도 끝나지 않을 듯하더니 산길로 들어서자 목적지까지 순식간에 거리가 좁혀졌다. 꽤 순조롭게 한 합목씩 넘으며 올라갔다. 각자 속도에 맞추어 걷다 보니 나만 애매하게 떨어졌다. 앞서 가는 지호 형과 교정 형을 따라 잡기에는 부족했고, 뒷 인원이랑 맞추기에는 페이스가 느려졌다. 결국 선발대와 후발대의 중간 지점에서 걸었다. 꼭 나 혼자 산행 중인 것 같았다. 전날까지만 해도 뭔가 우울했는데 기분이 좋아졌다. 혼자서 산가를 중얼중얼 불렀다. 그렇게 걷다 보니 금세 5합목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짐을 풀고 텐트를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