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 `계엄쇼크`에 무너진 환율… 내년이 더 두렵다 |
---|---|
Author | 근육맨 |
올해 원·달러 환율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후 최고 수준에서 마감됐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위협에 이어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1470원대에 마감했다. 내년에는 환율 1500원이 '뉴노멀'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제기되며, 외국인 이탈과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이란 악순환이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a href="https://www.vividflower.co.kr/" target="_blank" id="findLink">당일꽃배달</a>3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는 전 거래일 대비 5.0원 오른 1472.5원을 기록했다. 이날 환율은 5거래일 연속 상승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다만 이날 개장가인 1475.0원보다는 떨어졌다. 환율은 오전 한때 1465.0원까지 내려가는 등 상당히 큰 폭으로 움직였다.
올해 연말 주간거래 종가는 1년 전(12월 28일)인 1288.0원보다 184.5원이나 뛰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이는 1997년 말 1695.0원 이후 2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환율 연말 종가는 1998년에 1204.0원으로 급락했고 2006년엔 929.8원, 2007년 936.1원까지 내려갔다. 금융위기가 발발하며 2008년 말엔 1259.5원으로 급등했고 이후엔 1000~1200원대에서 거래됐다.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과 비상계엄·탄핵 충격으로 1500원선 근처로 수직 상승했다. 이에 금융시장은 새해 원·달러 환율이 1500원선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내년 5월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3~4%의 환율 변동은 통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바, 원·달러 환율의 1500원 도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자료를 제출했다. 증권가 역시 내년 1월 한은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인하 기대와 트럼프 취임 시점이 맞물릴 경우 일시적으로 1500원대를 터치할 것으로 내다봤다.
<a href="https://www.vividflower.co.kr/" target="_blank" id="findLink">당일꽃배달</a>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대내외 각종 악재로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 압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시장 개입도 강화될 것으로 보여 변동성 확대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이번주 원·달러 환율 밴드로 1460~1500원을 전망한다"고 말했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변수가 심화할 경우 단기적으로 환율의 1500원 돌파 가능성이 있다. 대외 재료에 대한 전망은 유지하지만 지금은 대내 정치 불확실성이 환율의 단기 변동성을 높이는 상황"이라며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아닐 수 있지만 추가 탄핵과 외국인 자금 이탈이 실제 이뤄질 경우 1500원을 넘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헌법재판관 임명을 수용하는 등 정국 안정에 전향적 태도를 취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하향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관측도 나왔다. 최 권한대행의 향후 정치적 판단에 따라 한국의 대외신인도는 물론 금융·외환시장의 흐름이 좌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a href="https://www.vividflower.co.kr/" target="_blank" id="findLink">당일꽃배달</a>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최 권한대행이 국회 몫 헌법재판관 3명에 대한 임명을 수용하는 등 정국 안정에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면 예상과 달리 환율이 하향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며 "계속되는 정국 불안 속에 환율 상단을 1480원대까지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